성대 결절 

 Vocal nodule 


  •  성대 결절이란? 

성대 결절은 성대의 중간부에 발생하는 작은 결절로, 보통 성대를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잘못된 발성 방법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주로 소년과 성인 여성에서 발생하며, 직업적으로는 가수나 교사에서 호발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  성대 결절의 증상 

성대 결절이 생기면 성대가 완전히 닫히지 않으면서 쉰 목소리가 납니다. 특히 일상적인 대화 때보다 노래할 때 고음에서 분열이 생기고 부드럽지 않은 목소리가 나며, 쉽게 목소리가 변하거나 평소보다 발성할 때 힘이 많이 들어가는 느낌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성대 결절의 병인 

성대에 가해지는 매우 강하고 지속적인 진동은 성대의 중간 부위에 부종과 혈관 충혈을 야기하며, 성대 점막의 울혈과 출혈은 섬유화를 발생시키고, 이는 결국 성대에 단단한 결절을 형성하게 만듭니다.


  •  성대 결절의 진단 

외래에서 간단히 후두내시경을 통해 진단할 수 있으며, 성대의 중간 지점에서 양측으로 넓은 기저부를 가진 흰 돌기로 관찰됩니다. 성대 점막의 파동 및 진폭 등을 보다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서 후두섬광촬영기(Laryngostroboscope)를 통해 검사하기도 합니다.


  •  성대 결절의 치료 

기본적으로 성대에 습기를 충분하게 공급하기 위해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하며, 알레르기나 역류성 인후두염 등 기저 질환에 대한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20분 이상의 과도한 발성, 속삭이거나 소리를 지르는 행위, 습관성 헛기침 등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성대 결절은 우선 음성 치료가 첫 번째 치료법입니다. 음성 치료는 성대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을 배우기 위해 전문 발성 치료사와 함께 훈련하는 것으로, 음성 치료를 통해 약 80% 정도는 증상 호전을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소 3개월 이상 충분한 기간을 갖고 음성 휴식 및 음성 치료를 시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증상의 호전이 없다면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소아에서 성대 결절이 발생했을 때는 소아의 경우 수술 후 재발이 잦고, 사춘기 이후 자연 치유가 되는 경우가 흔하며, 수술 후 음성 휴식에 대한 환자의 협조가 힘든 경우가 많아서 수술을 잘 시행하지 않는 편입니다.


<글 용인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 김주현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