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이 붉어지고 모래가 낀 것 같아요, 결막염
- 결막염이란?
눈꺼풀 안쪽과 안구를 덮고 있는 바깥층의 얇고 투명한 막을 결막이라고 불러요. 결막은 눈꺼풀과 안구를 촉촉하게 유지하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해요. 이 결막에 염증이나 감염이 생긴 것을 결막염이라고 해요. 결막에 염증이 생기면 혈관이 더 잘 비쳐 보이게 되고, 그 때문에 눈이 붉게 충혈돼요.
- 결막염의 원인과 증상
결막염의 원인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어요. 우선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결막이 감염되어도 결막염이 생길 수 있어요. 특히 여름철에 잘 유행하는 유행성 결막염은 아데노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이에요. 아폴로 눈병이라고 부르는 급성 출혈성 결막염도 엔테로 바이러스와 콕사키 바이러스에 의한 결막염이에요. 바이러스나 세균에 의한 결막염은 한쪽 눈에서 다른 쪽 눈으로도 쉽게 번질 수 있고, 다른 사람에게도 전염될 수 있어서 주의가 필요해요.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한 결막염이 생기면 눈이 충혈되면서 눈물이 나고, 눈곱이 심하게 끼어요. 눈이 가렵고, 모래가 낀 것처럼 꺼끌꺼끌하고 통증이 생겨요.
바이러스나 세균 감염 없이도 알러지 때문에 나타나는 알레르기성 결막염도 있어요. 꽃가루나 풀, 동물의 털 같은 알러지 유발 물질 때문에 나타나는 결막염이에요. 급성일 때는 눈이 갑자기 가렵고, 눈물이 나면서 충혈돼요. 심하면 눈이 붓고 눈곱이 나와요. 결막염 증상과 함께 콧물이나 재채기가 나기도 해요. 화학물질이나 콘택트렌즈 같은 이물질이 결막을 자극할 때도 자극에 의한 결막염이 생길 수 있어요.
- 결막염의 진단
결막염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우선 눈에 나타나는 증상들을 정확하게 확인해요. 안과의사가 세극등을 사용해서 눈을 직접 확인하고, 충혈이나 분비물, 동반된 다른 증상은 없는지도 확인해요. 증상이 심하거나 일반적인 치료에도 호전이 없을 때는 분비물에서 미생물이 자라는지 확인하는 배양 검사가 필요하기도 해요.
- 결막염의 치료
결막염의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달라져요. 세균이 원인이 된 결막염이라면 항생제 안약을 사용해요. 바이러스 결막염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는 항생제로 치료할 수 없지만, 이차적인 감염을 막기 위해서 항생제 안약이 필요하기도 해요.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항히스타민제, 항염증제 등의 약물 사용과 함께 알러지를 유발하는 원인을 피하려는 노력이 필요해요.
- 주의사항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한 결막염에 걸렸을 때는 의사의 확인이 있기 전까지는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주의해야 해요. 결막염에 걸린 사람은 다른 가족들과 수건을 따로 사용하고, 손을 자주 씻으세요. 눈에 닿는 화장품이나 화장도구는 다른 사람과 공유하지 않는 것이 좋아요.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고 있다면 의사의 지시에 따라 결막염이 나을 때까지는 착용을 중단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