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혈성빈혈
Hemolytic anemia
⚊
- 용혈성빈혈이란?
용혈성빈혈은 적혈구의 수명이 짧아져서 생기는 빈혈입니다. 혈액 안에 들어 있는 적혈구는 몸 전체로 산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합니다. 적혈구의 수명은 100~120일 정도이고, 수명을 다한 적혈구는 몸 안에서 파괴됩니다. 그런데 여러 가지 이유로 이 적혈구의 수명이 짧아지면서 적혈구가 파괴되는 용혈 현상이 일어나고, 골수가 적혈구를 열심히 생산해도 파괴되는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면 용혈성빈혈이 생깁니다.
- 용혈성빈혈의 증상
용혈성빈혈의 원인이 되는 질환에 따라 증상은 다양하지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이 있습니다. 쉽게 피곤해지고, 피부가 창백해집니다. 적혈구가 파괴되면서 나온 부산물 때문에 황달이 생기면 피부와 눈이 노랗게 변합니다. 적혈구를 파괴하고 부산물을 처리하는 비장과 간이 커지면서 배가 불편해지거나 덩어리가 만져지기도 합니다.
- 용혈성빈혈의 원인
용혈성빈혈의 원인은 선천적인 원인과 후천적인 원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선천성 질환인 낫적혈구빈혈(sickle cell anemia)이나 지중해빈혈(thalassemia)과 같은 혈액질환이 있으면, 비정상적인 적혈구가 만들어지면서 용혈성빈혈이 생깁니다. 반면 감염이나 혈액암, 자가면역질환, 약물 부작용, 인공판막 수술과 같은 후천적 요인에 의해서도 용혈성빈혈이 생길 수 있습니다. 신생아의 용혈성빈혈은 어머니와 Rh 혈액형이 맞지 않아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 용혈성빈혈의 진단
용혈성빈혈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증상과 기저질환, 가족력을 확인합니다. 혈액검사로 적혈구의 수와 상태, 혈색소를 확인합니다. 용혈의 원인을 알기 위해서는 적혈구의 상태나 자가항체에 대한 자세한 검사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혈액에 영향을 주는 다른 질환과 감별하기 위해서 골수 검사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 용혈성빈혈의 치료
용혈성빈혈은 원인에 따라 중증도와 치료법이 다릅니다. 약물에 의한 것이라면 원인이 되는 약물 사용을 중단합니다. 원인이 되는 질환이 있다면 치료하고 증상을 줄여줄 수 있는 대증요법을 시행합니다. 질환에 따라서는 비장을 수술로 제거하는 것이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