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성 심근병증 

 Dilated cardiomyopathy(DCMP) 

  

  • 확장성 심근병증이란?


확장성 심근병증은 심장 근육을 이루는 세포에 변성이 생기면서 심장 조직이 점점 얇고 커지는 질환이에요. 고무풍선에 공기를 불어 넣으면 풍선이 점점 커지면서 고무가 얇아지듯이, 심장 근육에도 같은 일이 생겨요. 심장 근육은 강하게 수축하면서 피를 온몸으로 보내주는데, 얇아진 근육은 수축하는 힘이 떨어져서 여러 가지 문제가 생겨요.


  • 확장성 심근병증의 증상 


심장에 있는 2개의 심실과 2개의 심방 중에서, 온몸으로 혈액을 내보내는 좌심실에서 증상이 시작돼요. 근육이 얇아지면서 좌심실이 늘어나요. 늘어난 근육은 수축하는 힘이 떨어져서 심부전이 생겨요. 근육이 늘어나면 근육에 붙어있는 심장 판막도 제 기능을 하지 못해요. 쉽게 피곤해지고, 다리가 붓고 폐에 물이 차서 숨쉬기가 어려워져요. 

늘어난 심실에서 혈액의 흐름에 문제가 생기면서 혈전이 생기고, 혈전이 혈관을 막으면 뇌경색이 오거나 다른 장기에 손상이 생겨요. 근육이 늘어나면 심장을 움직이는 전기신호에도 문제가 생겨서 심장 박동이 불규칙해지는 부정맥이 나타나요. 


  • 확장성 심근병증의 위험 요인


확장성 심근병증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유전자 변이가 확장성 심근병증의 원인이 될 수 있고 가족력도 있다고 알려져 있어요. 바이러스 감염이나 알코올 남용, 특정 약물이나 중금속, 심혈관질환도 확장성 심근병증과 연관이 있어요. 여성보다는 남성에게 조금 더 많이 나타나요. 


  • 확장성 심근병증의 진단


환자에게 나타나는 증상에서 확장성 심근병증이 의심된다면, 혈액 검사로 심장 근육의 상태를 반영하는 표지자의 수치를 확인해요. 흉부 X선 촬영으로 심장과 폐의 변화, 심장의 크기를 알 수 있어요. 심장 초음파는 확장성 심근병증을 진단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 돼요. 초음파로 심실이 늘어나 있는지, 심장이 수축하는 능력은 정상 범위 내에 있는지 알 수 있어요. 이 외에도 혈관 조영술이나 CT, MRI 같은 영상 검사로 심장의 상태를 확인하고, 유전적 원인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유전자 검사를 해요. 


  • 확장성 심근병증의 치료


확장성 심근병증을 치료하는 목표는 심장 기능이 더 나빠지지 않도록 유지하고, 합병증을 예방하는 거예요. 이뇨제나 강심제, 베타차단제 등의 약물을 사용하면서 심장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도와줘요. 이식형 제세동기나 페이스메이커(박동조절기)를 심장에 삽입해서 전기신호로 심장 박동을 조절해주기도 해요. 혈전이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해 항응고 약제를 사용해요. 치료를 계속해도 심장 기능이 계속 악화하면, 수술로 좌심실의 기능을 보조해주는 심실 보조 장치(LVAD)를 삽입하거나, 심장을 이식하는 것도 고려해야 해요.


확장성 심근병증의 예후는 남아있는 심장 기능에 따라 달라져요. 심장에 무리가 되지 않도록 충분히 휴식을 취하세요. 의사와 운동의 종류와 강도에 대해서 상의하고,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세요. 음주와 흡연은 삼가세요. 의사와 영양사의 지시에 따라 건강하고 나트륨이 적은 식습관을 유지하세요.